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스토리

비만도 계산법, 정확한 측정 방법

by 채째 2025. 2. 15.
728x90
반응형

 

비만도는 단순한 체중 측정이 아니라, 신체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비만도 계산법을 통해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한 방향을 설정해보세요. BMI, 체지방률, WHR 등 다양한 계산 방법과 그 정확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BMI 계산법: 가장 대중적인 비만도 측정법

BMI(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해 간단하게 비만도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활용하는 대표적인 비만도 계산법으로, 아래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BMI 계산 공식
BMI = 체중(kg) ÷ (신장(m) × 신장(m))
예를 들어, 키가 170cm(1.7m)이고 체중이 70kg이라면, BMI는 다음과 같습니다.
70 ÷ (1.7 × 1.7) = 24.22
BMI 수치별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8.5 미만: 저체중
  • 18.5 ~ 22.9: 정상
  • 23 ~ 24.9: 과체중
  • 25 이상: 비만
  • 30 이상: 고도비만

BMI의 장점은 간단한 계산만으로 대략적인 체중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근육량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운동선수나 근육이 많은 사람에게는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체지방률 계산: BMI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

BMI는 간편하지만, 체지방과 근육량을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체지방률(Body Fat Percentage, BFP)이 사용됩니다.
체지방률 공식
남성: (1.20 × BMI) + (0.23 × 나이) - 16.2
여성: (1.20 × BMI) + (0.23 × 나이) - 5.4
예를 들어, BMI가 24이고 나이가 30세인 남성이라면 체지방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20 × 24) + (0.23 × 30) - 16.2 = 20.1%
체지방률 기준:

  • 남성: 10~20% 정상, 25% 이상 비만
  • 여성: 18~28% 정상, 32% 이상 비만

체지방률은 전문적인 인바디(InBody) 측정 기계나 캘리퍼(피하지방 측정 도구)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허리-엉덩이 비율(WHR): 복부 비만 확인 방법

비만도 측정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체중이나 체지방량뿐만 아니라 지방이 어디에 쌓였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평가하는 방법이 허리-엉덩이 비율(WHR, Waist-Hip Ratio)입니다.
WHR 계산법
WHR = 허리 둘레(cm) ÷ 엉덩이 둘레(cm)
WHR 기준:

  • 남성: 0.90 이상이면 복부 비만
  • 여성: 0.85 이상이면 복부 비만

이 방법은 BMI나 체지방률보다 복부 비만 여부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어떤 비만도 계산법이 가장 정확할까?

비만도 측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간단한 계산이 필요하다면? → BMI
  • 정확한 지방량을 알고 싶다면? → 체지방률
  • 복부 비만을 체크하고 싶다면? → WHR

정확한 비만도를 측정하려면 BMI, 체지방률, WHR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함께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도 추천합니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 오늘부터 비만도를 체크하고,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을 실천해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