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스토리

멜라토닌의 놀라운 효과

by 채째 2025. 1. 12.
728x90
반응형

수면장애는 10명 중 2~3명이 경험할 정도로 흔한 장애입니다.
수면장애 환자는 매년 증가 하다가 2022년부터 11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하는데요.
 
젊은 성인의 경우 하루 7~8시간의 수면이 적정 합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6시간을 갓 넘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수면의 양이 적은 것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도 중요한데요. 100명 중 7명만이 숙면을 한다고 대답할 정도 라고 합니다.

수면장애 사진

 
수면이 부족하면 만성적인 두통, 염증, 당뇨병, 인지 저하, 치매 등의 발병률 위험을 높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수면장애를 치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치료 목적으로 수면제를 처방하지만, 수면제는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오랫동안 복용을 하게 되면 동반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 약효가 떨어지는 내성 발생
  • 약의 의존도가 높아짐
  • 어지러움, 현기증, 인지능령 감소
  • 입마름 현상
부작용이 적으면서
음식을 통해 섭취할 수 있고
수면 리듬을 맞추면서
건강 관리까지 할 수 있는 영양 성분이 바로
 멜라토닌입니다.

 

반응형


우리나라에서는 멜라토닌이 처방 약 이기 때문에 찾기가 어려운데,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가는 곳마다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젤리부터 사탕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직구 또한 불법이라고 하니 이점 꼭 참고해야 합니다.
 
 

멜라토닌이란?

멜라토닌은 외부에서 섭취하는 물질이라기보다는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입니다. 우리 뇌에 송과선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입니다.

  • 수면 주기를 조절해 주는 호르몬 입니다

  • 몸에 독성을 띄고 우리 몸에 노화를 촉진하는 자유라디칼이나
    활성산소 같은 것을 직접적으로 제거해 주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입니다.

  • 뇌 손상을 예방해서 알츠하이머를 예방해 줍니다

  •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작용을 합니다

 
생명체가 태어났을 때 가장 먼저 생성 되었다는 항산화 성분 중에 하나가 바로 멜라토닌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입니다. 
하루 중 우리 뇌의 송과선은 빛이 줄어들면서 멜라토닌을 생성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어두워졌을 때 멜라토닌의 농도가 상승하여, 수면 중 최고조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해가 뜨는 새벽에 다시 농도가 내려가며 우리의 수면 리듬을 잡아주게 됩니다.
 
우리가 시간을 보는 방법은 시계를 보지만, 우리의 몸은 멜라토닌 농도를 통하여 낮과 밤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멜라토닌이 부족해지면?

멜라토닌이 부족해지게 되면,
우리 뇌세포에 있는 항산화 성분 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직접적인 활성산소를 제거하지 못하게 됩니다.

  • 염증수치 상승
  • 노폐물 축적
  • 독성 물질 축적
  • 염증 유발
  • 암, 치매 같은 혈관성 질환 위험

그렇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멜라토닌은 수면 조절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합니다.
 
 
 

멜라토닌의 부작용

멜라토닌은 용량에 비례하여 무작정 효과가 높아지는 건 아니기 때문에 작은 용량부터 나에게 맞는 용량을 맞춰서 섭취해야 합니다.

섭취하면서 발생하는 부작용에는

  • 과한 졸림
  • 두통
  • 어지러움
  • 메스꺼움

등이 있는데요. 이러한 증강이 나타난다면 용량을 조절한다거나 섭취 빈도를 조절하는 것이 방법입니다.
또한 섭취 시에 혈압약+혈전약을 함께 복용할 경우 주치의와 반드시 협의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